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광자 과부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

}}}



1. 공식 설명[편집]


파일:SC2_Coop_Mutators_photonoverload.png
광자 과부하
(Photon Overload)
적의 모든 구조물이 주위의 적대적인 유닛을 공격합니다.
(All enemy structures attack nearby hostile units.)


2. 상세[편집]


돌연변이 포인트
1
모든 적 구조물이 피해를 받으면 15초간 일시적으로 광자 과충전으로 아군을 공격한다. 사거리는 10이고 대미지는 20, DPS 16으로 사거리가 긴 광자포라 보면 된다. 적의 모든 건물이 광자포 공격을 하는 셈이기에 구조물을 밀고 들어가야 하는 공성 상황에선 개별 전투보단 화력을 집중해 건물을 하나하나 파괴하는게 피해를 줄이기 좋다. 영웅 속성의 구조물(대게 미션 오브젝트류 구조물)은 광자 과충전이 발동되지 않는다. 참고로 동력이 끊긴 프로토스 구조물, 연결이 해제된 기술실/반응로, 점막 종양 등 무력화되어 있거나 별 능력 없는 구조물들도 모조리 공격받는 즉시 과충전을 발동시키므로 유의할 것.

병력이 별로 없는 초반에는 상당한 위협이 되며, 멀티가 적진에 있는 맵에서 확장의 난이도가 상승한다. 건물 철거력이 별로인 병력 조합(ex. 알라라크 승천자)이라면 중후반에도 상당한 골치를 썩게된다.

잘못된 전쟁의 활성화되지 않은 진압탑 구조물이라 근처에 뭔가 피해를 주는 공격(ex. 궤도 폭격)이 떨어지면 광자 과부하가 걸린다. 문제는 비활성화된 진압탑은 무적이라서 파괴할 수 없다는 점. 활성화되면 사라질 때까지 피해다닐 수밖에 없다.

또한 방어막, 좀 죽어같은 1회성 돌연변이가 아니기 때문에 광자 과부하가 사라졌어도 공격당하면 바로 다시 발동한다.

감염된 구조물에도 광자 과부하가 적용되므로 100개가 넘는 건물을 신속히 파괴해야 하는 죽음의 밤 임무와 시너지를 보인다. 또한 광물 보호막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별 생각없이 포탑 한 두개만으로 걷어내려하다 일꾼들이 여럿 죽는 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으니 요주의.

아주 어려움+ 시너지로 광물 보호막이 있다. 광물 보호막의 체력은 50으로 때리면 광자 과부하가 발동하는데, 왠만한 자원 돌변 저리가라 할 정도의 시너지가 나온다. 당연히 합산 포인트 3이라서 치끌이나 천공기 같은 끔찍한 시너지도 가능하다

3. 사용된 주간 돌연변이[편집]



4. 대처 방법[편집]



4.1. 레이너[편집]


광자 과부하로 레이너의 병력을 때려잡기에는 수가 너무 많다! 해병의 강력한 밀집 화력으로 구조물을 빠르게 철거할 수 있으며 어차피 구조물의 대부분이 중장갑이라 섞어주는 불곰들도 철거를 잘한다. 다만 초반에 소수 병력일 때는 주의하자.


4.2. 케리건[편집]


연쇄 반응 업그레이드는 필요하지 않다면 미루는 것이 좋다. 쿠션 공격 때문에 건물 밀집 구역을 공격할 때 괜히 벌집을 쑤시는 꼴이 되기 때문.


4.3. 아르타니스[편집]


어차피 사거리는 용기병보다 길기 때문에 초반 손해를 줄이려면 특이점 장전보다 초정밀 압축 시스템 업글을 먼저 해주면 좋다.

4.4. 스완[편집]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탱크의 엄청난 화력으로 먼거리에서 건물들을 날려버릴 수 있다. 그냥 평소처럼 하면 된다.


4.5. 자가라[편집]


저글링은 건물 철거를 굉장히 잘하는 유닛이다. 평소처럼 들이 부으면 된다. 대신 저글링 회피를 찍어서 과충전을 피해주자. 저글링에겐 과충전은 아픈편이다. 물론 과감하게 들이부을 때 쯤이면 손실도 가볍게 메꾸겠지만.


4.6. 보라준[편집]


평소에 쓰는 커닥 조합이면 탐지기가 없을 땐 그냥 일방적으로 팰 수 있다. 화력도 굉장해서 건물 철거도 잘한다. 다만 암집조합은 딜이 별로이므로 하지 말자.


4.7. 카락스[편집]


전투 유닛들이 튼튼해서 크게 아프지 않으나, 탐사정은 통합 방어막 포함해도 3대만 맞으면 터지므로 초반 멀티 확보를 위한 적진 공격 시에는 유의해야 한다. 광자 과부하는 적 유닛이나 방어 건물과 달리 어그로가 고정되지 않기에 탐사정부터 공격하는 경우도 많다.

병력 운영의 경우 그다지 걸림돌이 없다. 광자 과부하에 죽을만한 물몸 유닛은 관측선과 동력기 뿐이고,[1] 관측선은 은폐라 노출이 별로 되지 않는데다, 동력기는 보조 유닛이라 보호가 힘들면 안 뽑아도 그만이기 때문.

시너지가 있는 광물 보호막의 경우 궤도 폭격으로 1방에 없애기에 별로 위협이 안 된다. 건물 많은 죽밤도 카락스는 관측선 시야 + 태양의 창만으로 하기에 2위신이 아닌한 전혀 문제될 것 없다. 광자 과부하가 활성화되더라도 해당 건물이 탐지기가 있는건 아니므로 관측선을 공격하지 않는다. 기존에 배치된 대공 포탑과 탐지기 유닛이야 어차피 광자 과부하가 없더라도 관측선의 안전 확보를 위해서라도 궤도 폭격이나 정화 광선으로 사전 제거하는게 일반적이다.

하필 대미지가 20이라 맞으면 통합 방어막이 바로 벗겨진다. 상호파괴보장이나 핵전쟁같은 한방 돌연변이가 같이 섞인 경우 이런 돌변에 대한 대항력이 약해지므로 유의하자.

4.8. 아바투르[편집]


아바투르 초반 파밍은 어차피 건물을 건들지 않고 파밍하기 때문에 그다지 티가 나지 않는다. 초반이 넘어가면 생체물질 먹인 아바투르의 병력들은 유지력이 굉장하므로 일반 아주 어려움처럼 하면 된다.


4.9. 알라라크[편집]


기존의 승천자 테크는 대 구조물 피해가 굉장히 떨어지기 때문에 타 사령관에 비해 과부하에 오래 노출되기 쉽다. 그렇다고 저항도 않는 구조물에만 사이오닉 구체를 쏘기에는 부담된다. 따라서 이 때는 분노수호자를 좀 섞어서 대 구조물 화력을 높히거나 로공테크로 가는것이 좋다.


4.10. 노바[편집]


컨트롤 하기 귀찮지만 구조물 철거엔 해방선이 제격이다. 무시무시한 DPS로 과충전이 뭘 하기도 전에 순식간에 녹아버린다. 그리고 유닛들의 기본 체력도 높은편이리 그냥 평소처럼 하면 된다. 좀 더 안정적으로 하고싶다면 밤까마귀의 포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된다.


4.11. 스투코프[편집]


꾸준한 딜로 잡는 감염체들은 생각보다 건물들 앞에서 무기력하다. 탱크를 대동해 건물들을 박살내 주자.


4.12. 피닉스[편집]


회복수단이 없는 피닉스는 초반에 피닉스를 열심히 굴려가면서 플레이해야한다. 초반만 버티면 용벤저스의 강력한 화력으로 건물들을 박살낼 수 있다.


4.13. 데하카[편집]


초반 데하카 파밍할 때 건물을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1렙 데하카에겐 굉장히 강력하다. 하지만 초반만 버티면 티도 안나는 화력이다.


4.14. 한과 호너[편집]


죽음의 밤처럼 곤란한 임무라도 정밀 타격이면 해결된다. 자기 지뢰랑 화염기갑병을 빼면 다들 철거도사기도 하고.


4.15. 타이커스[편집]


강력한 무법자들 앞에서 DPS 20짜리 과부하는 티도 안난다. 게다가 워낙 기본 공격력이 높아 건물철거를 잘한다. 그래도 지속해서 싸우면 아프므로 평소에 첫번째 무법자를 힐러를 안뽑는 사람들은 그냥 순서를 바꿔서 힐러를 먼저 뽑아주면 장땡이다.


4.16. 제라툴[편집]


구조물 vs 구조물
어차피 포탑을 하던 유닛을 하던 포탑은 투영이라 포탑 자체에 데미지를 주지 않으며 유닛도 기본적으로 튼튼해 걱정이 없다.


4.17. 스텟먼[편집]


광자 과부하 딜량이 좋은편은 아니라서 바퀴를 잘 녹이지 못한다. 그냥 평소처럼 감염충으로 바퀴나 던지고있으면 일반 아어처럼 할 수 있다.


4.18. 멩스크[편집]


그나마 부대원과 근위대가 늘어나는 중후반은 괜찮지만 초반이 너무나도 아프다. 최대한 진출을 늦추고 불곰이라도 합류시켜서 진출해야 한다. 후반에는 화력으로 찍어 누르면 된다. 공격형 임무라면 대지파괴포를 지어서 멀리서부터 찍어 누르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1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1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3:13:35에 나무위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광자 과부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파수병이나 로공 유닛, 우모는 맞아도 그다지 아프지 않고, 신기루는 어차피 건물을 못 때려서 광자 과부하를 활성화 시킬 일이 별로 없다.